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월칙
- Infresh
- 부자의그릇
- sentry
- try width resources
- docker
- 비메모리 자원
- 과제의 분리
- 이펙티브 자바
- Container
- 뉴 컨피던스
- node
- apache kafka
- HTML
- 모두가 기다리는 사람
- kubernetes
- 아웃풋법칙
- 쿠버네티스
- try-with-resources
- 칭기즈칸의 위대한 장군 수부타이
- 수부타이
- 참조 계수
- 공헌감
- 도파민형 인간
- CSS
- colllection
- ESG
- java
- 히든 스토리
- 레퍼런스 복사
- Today
- Total
Hi
(javascript) 함수 호출과 this 본문
함수 호출과 this
함수 호출 또한 다른 언어와는 달리 자유롭다.
arguments 객체
함수를 호추할 때 인수들과 함께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가 함수 내부로 전달 되기 때문에, 인자를 아무렇게나 넣어도 작동 되고 있다.
arguments 객체를 다를 줄 알아야 한다.
arguments 객체 : 함수를 호출할 때 넘긴 인자들이 배열 형태로 저장된 객체
실제 배열이 아닌 유사 배열 객체
// add() 함수
function add(a, b) {
// arguments 객체 출력
console.dir(arguments);
return a + b;
}
console.log(add(1)); // (출력값) NaN
console.log(add(1, 2)); // (출력값) 3
console.log(add(1, 2, 3)); // (출력값) 3
}
arguments는 객체이지 배열이 아니다.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는것에 주의.
arguments 객체 -> 매개변수 개수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함수를 구현하거나,
전달된 인자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를 해줘야 하는 함수를 개발하는 데 유용.
function sum() {
var result = 0;
for (var i = 0; i < arguments.length; i++) {
result += arguments[i];
}
return result;
}
console.log(sum(1, 2, 3)); //(출력값) 6
console.log(sum(1, 2, 3, 4, 5, 6, 7, 8, 9)); //(출력값) 45
호출 패턴과 this 바인딩
함수를 호출할 때 기존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인자값에 더해, arguments 객체 및 this 인자가 함수 내부로 암묵적으로 전달된다.
this가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 함수가 호출되는 방식(호출 패턴)에 따라 this가 다른 객체를 참조하기(this 바인딩) 때문
함수 호출 패턴과 해당 패턴에 따라 this가 어떤 객체에 바인딩 되는지 알아야 한다.
객체의 메서드 호출할 때 this 바인딩
객체의 프로퍼티가 함수의 경우, 이 함수를 메서드.
메서드 내부 코드에서 사용된 this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로 바인딩된다.
// my Object 객체 생성
var myObject = {
name: 'foo',
sayName: function () {
console.log(this.name);
}
}
// otherObject 객체 생성
var otherObject = {
name: 'bar'
}
// otherOject.sayName() 메서드
otherObject.sayName = myObject.sayName;
// sayName() 메서드 호추
myObject.sayName();
otherObject.sayName();
[출력결과]
foo
bar
함수를 호출할 때 this 바인딩
해당 함수 내부에서 사용된 this -> 전역 객체에 바인딩 된다.
브라우저 환경 - 전역 객체는 window 객체
Node.js 환경 - 전역 객체는 global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전역 변수는 실제로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들
var test = 'This is test';
console.log(window.test);
//sayFoo() 함수
var sayFoo = function() {
console.log(this.test); // sayFoo()함수 호출 시 this는 전역 객체에 바인딩된다.
};
sayFoo();
This is test
This is test
내부 함수(inner function)를 호출했을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 내부 함수에서 this를 이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 전역 변수 value 정의
var value = 100;
// myObject 객체 생성
var myObject = {
value: 1,
func1: function() {
this.value += 1;
console.log('func1() called. this.value : ' + this.value);
// func2() 내부 함수
func2 = function() {
this.value += 1;
console.log('func2() called. this.value : ' + this.value);
func3 = function() {
this.value += 1;
console.log('func3() called. this.value: ' + this.value);
}
func3(); //func3() 내부 함수 호출
}
func2(); // func2() 내부 함수 호출
}
};
myObject.func1(); // func1() 메서드 호출
[출력결과]
2
101
102
내부 함수도 결국 함수이므로 이를 호추할 때는 함수 호출로 취급된다.
함수 호출 패턴 규칙에 따라 내부 함수의 this는 전역 객체 (window)에 바인딩된다.
한계 극복 -> 부모 함수의 this를 내부 함수가 접근 가능한 다른 변수에 저장한다.
관례상 this 값을 저장하는 변수의 이름 : that
that 변수로 부모 함수의 thi가 가리키는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 내부 함수 this 바인딩
var value = 100;
var myObject = {
value : 1,
func1: function() {
var that = this;
this.value += 1;
console.log('func1() called. this.value : ' + this.value);
func2 = function() {
that.value += 1;
console.log('func2() called. this.value : ' + that.value);
func3 = function() {
that.value += 1;
console.log('func3() called. this.value : ' + that.value);
}
func3();
}
func2();
}
};
myObject.func1(); // func1 메서드 호출
[출력 결과]
2
3
4
생성자 함수를 호출할 때 this 바인딩
기존 함수에 new 연산자를 붙여서 호출하면 해당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 동작한다.
특정 함수가 생성자 함수로 정의되어 있음을 알리려고 함수 이름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쓰기를 권하고 있음.
// Person() 생성자 함수
var Person = function (name) {
// 함수 코드 실행 전
this.name = name;
// 함수 리턴
};
// foo 객체 생성
var foo = new Person('foo');
console.log(foo.name); // (출력값) foo
```javascript
// 객체 리터럴 방식으로 foo 객체 생성
var foo = {
name: 'foo',
age: 35,
gender: 'man'
};
console.dir(foo);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age, gender, position)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gender = gender;
}
// Person 생성자 함수를 이용해 bar 객체, baz 객체 생성
var bar = new Person('bar', 33, 'woman');
console.dir(bar);
var baz = new Person('baz', 25, 'woman');
console.dir(baz);
var qux = Person('qux', 20, 'man');
console.log(qux); // (출력값) undefined
console.log(window.name); // (출력값) qux
console.log(window.age); // (출력값) 20
console.log(window.gender); // (출력값) man
강제로 인스턴스 생성하기
function A(arg) {
if (!this instanceof A))
return new A(arg);
this.value = arg ? arg : 0;
}
var a = new A(100);
var b = A(10);
console.log(a.value); //(출력값) 100
console.log(b.value); // 10
console.log(global.value); // undefined
this가 A의 인스턴스인지를 확인하는 분기문 -> this가 A의 인스턴스가 아니라면, new로 호출된 것이 아님을 의미. 그래서 new로 A를 호출하여 반환하게 함.
다음과 같이 표현식을 쓰곤 한다.
if (!(this instanceof arguments.callee))
...
arguments.callee : 곧 호출된 함수 -> 특정 함수 이름과 상관없이 이 패턴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모듈을 작성할 수 있음.
어쨌든 이 패턴으로 함수 작성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함수를 호출할 때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call과 apply 메서드를 이용한 명시적인 this 바인딩
//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age, gender)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gender = gender;
}
// foo 빈 객체 생성
var foo = {};
// apply)() 메서드 호출
Person.apply(foo, ['foo', 30, 'man']);
console.dir(foo);
Person.apply(foo, ['foo', 30, 'man']);
apply() 메서드를 사용해서, Person() 함수를 호출한 코드다.
결국 Person('foo', 30, 'man') 함수를 호출하면서, this를 foo 객체에 명시적으로 바인딩 하는 것을 의미한다.
call() 메서드 : apply() 와 기능은 같음
Person.call(foo, 'foo', 30, 'man');
apply()나 call() 메서드는 this를 원하는 값으로 명시적으로 매핑해서 특정 함수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nction myFunction() {
console.dir(arguments);
// arguments.shift(); 에러 발생
// arguments 객체를 배열로 변환
var args = Array.prototype.slice.apply(arguments);
console.dir(args);
}
myFunction(1, 2, 3);
함수 리턴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항상 리턴값을 반환한다.
규칙 1) 일반 함수나 메서드는 리턴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undefined 값이 리턴된다.
규칙 2) 생성자 함수에서 리턴값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생성된 객체가 리턴된다
생성자 함수의 리턴값으로 넘긴 값이 객체가 아닌 불린, 숫자, 문자열의 경우 -> 이러한 리턴값을 무시하고 this로 바인딩된 객체가 리턴된다.
'WEB(웹)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타입 (0) | 2018.06.30 |
---|---|
참조 타입의 특성 (0) | 2018.06.30 |
자바스크립트 참조 타입(객체 타입) (0) | 2018.06.30 |
기본 타입 (0) | 2018.06.30 |
template string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