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과제의 분리
- sentry
- Container
- 아웃풋법칙
- 비메모리 자원
- CSS
- Infresh
- 뉴 컨피던스
- 칭기즈칸의 위대한 장군 수부타이
- 레퍼런스 복사
- ESG
- try-with-resources
- 히든 스토리
- 참조 계수
- 공헌감
- node
- 월칙
- colllection
- 쿠버네티스
- 부자의그릇
- 도파민형 인간
- 모두가 기다리는 사람
- docker
- kubernetes
- HTML
- apache kafka
- java
- try width resources
- 수부타이
- 이펙티브 자바
- Today
- Total
Hi
완벽한 공부법 본문
긍정적 자아.
성장적 자아
우리의 잠재력은 엄청나고,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력 노력하면 된다.
메타(about)인지 : 나에 대해서 잘 아는 것. 내가 뭘 모르는지, 내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알기
메타기억, 메타이해
지식의 저주 : 내가 아는 걸 상대도 안다고 착각하는 것..
그래서 잘 아는 것과 가르치는 것은 다르다. (대학 강단에서 너무나 많이 느꼈다.)
<기억>
인간의 뇌는 분류해서 기억을 저장하고, 다시 되돌릴 때 여러 군데의 정보들을 모아 기억을 떠올린다.
그래서 기억은 박제되어 있지 않고 살아 움직인다.
기억을 잘하기 위해서 첫 시작. 흔히 집중력이라 말하는 '주의'
주의를 통해 선별적으로 자각
주의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 - 공부를 많이 하는 수밖에 없다는 사실
공부를 계속하다 보니 주의력과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
우리 뇌는 동시에 두가지에 집중하지 못한다.
멀티태스크 -> 두 배의 효율을 내는 것이 아니라 두 배의 비효율을 낳는다.
작업기억(=단기기억)
우리는 하나의 작업장 당 7 +-2 개를 두고 작업할 수 있다.
4개의 작업장이 있다 (음운회로, 시공간 메모장, 일화완충기, 중앙집행기)
이미 공부했던 내용과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는 노력 -> 작업기억의 작업대는 더 훌륭
시각적 메모장(작업장 2)으로 기억하는 것을 음운회로(작업장 1)로 기억하지 않는 것을 통해 더 넓은 작업기억을 확보할 수 있다.
시공간 메모장을 활용하는 것을 음운회로로 치환하지 않도록 노력한다.
다시 말해 이미지를 잘 활용하고 그림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
위대한 과학자나 예술가들은 심상을 통해 대상을 이해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오히려 말로 설명하기가 더 힘든 것이 많다고 표현할 정도다.
심상과 소리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둘 다 활용한다면 작업기억의 용량이 더 커질 것이다.
시공간적 자료 활용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언어적 설명과 시각적 표상을 결합하면 학생들이 더 많이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장기기억 (=도서관)
'일상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자율감 (0) | 2018.07.22 |
---|---|
산티아고 이야기 (0) | 2018.07.22 |
대담한 큰 목표와, SMART 단중기 목표 (0) | 2018.07.14 |
성장목표와 증명목표 (0) | 2018.07.04 |
기억 전략 (0) | 201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