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아웃풋법칙
- Infresh
- CSS
- 월칙
- node
- HTML
- 모두가 기다리는 사람
- Container
- 쿠버네티스
- docker
- apache kafka
- 과제의 분리
- 히든 스토리
- sentry
- kubernetes
- 도파민형 인간
- 레퍼런스 복사
- ESG
- 부자의그릇
- 비메모리 자원
- try width resources
- 뉴 컨피던스
- 참조 계수
- colllection
- 공헌감
- 칭기즈칸의 위대한 장군 수부타이
- try-with-resources
- 수부타이
- java
- 이펙티브 자바
- Today
- Total
Hi
Project(Solution) - Module(Project): Protobuf User 객체 -> File, Network 직렬화 java -> binary gson -> JSON User 객체가 직렬화를 지원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하나만 구현하면 됩니다. 객체 직렬화/역직렬화 방법 1) JSON: Gson => Text 형식 { "name": "Tom", "age": 42 } 2) Binary :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 Google Protocol Buffers 1) 효율적이다. 2) 다양한 언어에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가 없다. protoc를 이용해서 생성하면 된다. 3) 타입이 명확하게 지정되어야 한다. '타입 안정성'이 있다. Server: Java, Python, Node..
1. uml diagram 2. (login) sequence diagram 2가지 형태의 설계를 한다.
http://yookeun.github.io/java/2017/05/27/java-gson/
// 직렬화(Serialization) // : 객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바이너리 또는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 // 역직렬화(Deserialization) // : 바이너리 또는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객체로 복원하는 과정 // Java - Serializable(interface) : Java // 데이터 교환 포맷 // 1) Text: JSON, XML // Object -> JSON : Google Gson Library // 2) Binary // 직접 프로토콜을 설계 // 3) Protocol Buffers /* { "type": "Join", "body": { "user": "Tom" } } // JSON String String Number(Int, Double, Float, C..
parameter에 넣어서 가져오는 것은 똑같은 레퍼런스를 가리키는 것이고, 얕은복사와는 개념이 다르다. 얕은복사를 하면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