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레퍼런스 복사
- sentry
- 월칙
- 쿠버네티스
- 칭기즈칸의 위대한 장군 수부타이
- Infresh
- 히든 스토리
- 공헌감
- docker
- ESG
- HTML
- try width resources
- try-with-resources
- 비메모리 자원
- colllection
- CSS
- 과제의 분리
- 참조 계수
- 도파민형 인간
- apache kafka
- 뉴 컨피던스
- Container
- 아웃풋법칙
- 수부타이
- kubernetes
- 부자의그릇
- java
- node
- 모두가 기다리는 사람
- 이펙티브 자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39)
Hi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인간 관계에 있어, 많은 성찰을 주고 있다. 특히 이번에 가정에서의 화목을 지키는 법이 내게 가장 크게 실질적 도움이 되었다. 감동적이고, 카네기의 책은 그야말로 읽기 쉬우면서도 감동이 다가오는 책이다. 그리고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 풀어나가는 책이고, 경험이 담긴 책이기 때문에 또한 더더욱 공감할 수 있었다. 이론적인 실험분석의 결과도 좋은 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렇게 경험적인 책도 깊은 통찰을 줄 수 있다는 걸 이번에 배울 수 있었다.
묵자 겸애와 세상의 평등함을 위해 살았던 중국 기원전 400년의 사람. 제자백가
국민이 대부분이 가난하고 비참하게 사는데그 나라가 부유하다고 말할 수 없다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칼 마르크스의 자본론 둘다 초점은 인간에 대한 사랑,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사랑이었다. 케인즈의 거시경제학,하이에크의 신자유주의 정부와 자유주의를 모두 거쳐보았지만,거시경제학 -> 스태그 인플레이션(불황과 인플레이션이 함께 옴) 과신자유주의 -> 세계화가 이루어지면서금융 자본주의. 세계가 휘청거리기 시작.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부와 빈공의 양극화. 불평등이 더 커졌다는 것도 사실이다.괴물 금융 문제들이 직면하면서, 결국에는 새로운 대안은 우리 사람에게 달려있다. 사람을 위한 것이 바로 '복지'라고 본다.
-aws 가입 Gabia -> xyz -> AWS -> Route 53(DNS) EC2Compute Engine Amazon Linux (이전단계는 걍 물흐르듯이하면됨) [vue] code style -> scheme -> 그 폴더 ~~scheme.xml 넣어서 apply ok ----------------------------------- name: SSH -> 오픈할 ip 설정 22포트 / --> 0.0.0.0/0 (모든 거 가능)HTTP 80 포트 추가HTTPS 443 포트 추가 키 페어 선택 / 새 키 페어 생성 새 키 페어 생성 webserver-20180908 // 날짜로 관리하면 좋음 -> 나만 갖고 있어야 함! 키페어다운로드(.pem) -> 보관해놓기 ===>>> 끝 -> pem 다운받은 ..
npm run lint -- --fix 를 터미널에 치거나, .eslintrc.js 파일의 rules 안에 "linebreak-style": 0 을 넣는다. 출처 : https://github.com/diegohaz/arc/issues/171
현재 위치 pwdmkdir '파일 이름'cd '폴더이름'에 들어간다.한번만 하면 된다. npm install -g vue-clivue init hyunwoo/vue-template? Generate project in current directory? Yes ? Project name vue-router-test ? Project description A Vue.js project ? Author SharingWorld hapsoa@gmail.com ? Vue build standalone ? Install vue-router? Yes ? Use ESLint to lint your code? Yes ? Pick an ESLint preset Airbnb ? Pick an template language ..
퍼블리싱 디자인의 필요한 것(ex 버튼, 카드 등) 을 가지고 올 수 있는 사이트
1편에 이어서 바로 2편을 이어 보고 싶게 되었다. 악질 해적들의 행동을 보면서, 인간도 저런 모습이 있지 않나 되돌아 보게 한다. 회초리로 일꾼들을 때려서 크라켄을 소환하는 장면이 내게는 가장 충격적인 장면이었다.
언젠가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시리즈,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들을 한번 다 돌아보면서 보고 싶었다. 이번 주말에 캐리비언의 해적을 보게 되었는데, 빠져드는 몰입감이 있었다. 근대 유럽 해양 역사와 관련한, 그리고 해적에 관련한 이야기를 잘 연결시켜 창의적인 영화를 만든 데 감탄한다.
오후 '10시 39분'에 자는 것이 최적의 수면 시간이다. 그리고 수면시간 평소 7시간 ~ 8시간 확보해 주는 것이 좋다.
참기름에 무를 넣고, 고추가루를 넣어 볶는다. 물을 더 넣고, 마늘, 새송이버섯, 애호박, 두부, 넣는다. 다시다 작은 한숫갈을 넣는다. 소금도 조금 넣느나.
이웃 어렸을 적부터 친한 친구사이었던 남녀, 살면서 이렇게 꼬일 수 있을까. 참으로 안타까운 엇갈림.. 하지만 진행 과정이 약간 빠른 건지, 우리 문화와 안맞는 건지 쉽게 놓치는 장면들을 되감기하여 보았다. 하지만 결국 두 남녀는 서로의 이끌림과 우정으로 사랑의 결실을 맺는데, 뭔가 흐뭇한 마음이었다. 댓글들 반응처럼 막장 드라마 같은 영화 그치만 재밌다.
밀양 사건을 조명한 영화. 나무 위키에서 밀양 사건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해놓고 있는데, 2004년에 그런 일이 발생했을 거라곤 생각도 못했다. 충격적인 사건 꼼꼼히 나무위키를 읽고, 이 영화도 보면서 세상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가질 수 있었다. 세상에 좋은 일을 만드려고 살아가는 사람도 많지만, 이렇게 인간의 마음이 악해 질 수 도 있다는 것을.. 이 영화를 통해, 일사부재리의 원칙이 뭔지도 알게 되었다. 한번 판결을 내리면, 재판결을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사람은 바뀔 수 있는게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과연 가해자들이 마음을 바꾸고 좋은 사람이 되어 선량한 사회인이 되었을까,,, 이 사건 잊지 않고, 피해자는 잘 보호할 수 있는 사회와, 가해자들은 반성하고 교화할 수 있는 사회 시스..
이웃 집에 신이 살고 있는데(하나님), 어머니 아들(예수), 여동생 에아가 함께 산다. 신이 괴팍하고, 악역을 도맡고 있다. 이와중에 여동생 에아가 세상을 바꾸려 하고, 어머니(여신)이 새로운 세상을 바꿔나가기 시작한다. 영화를 보면서 신이 과연 있을까, 신에대한 논리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의구심을 품어보게 되는 영화였다.
고고학자이자, 예전에는 신부였던 주인공이 악마 루시퍼의 사원을 조사하게 됨으로써 펼쳐지는 영화다. 공포를 조성하는 영화이고, 결국에는 주인공은 신의 이름을 빌려, 신앙심으로 악마를 물리치는 스토리이다. 다만 여기서 느꼈던 것은 1949년대 동아프리카의 원주민과 영국군에 대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의 신앙심도 조금 알 수 있었다.
인류가 공격을 당하는데, 사실 알고보니 주인공의 인류는 인조인간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실제 인류가 다시 지구를 되찾기 위해 공격해 온 것이고. 영화에서는, 인공지능도 서로 타협해야 할 존재라고 말하고 있다. 과연 인공지능이 어디까지 발전할지, 그리고 '선'의 리더로 나아갈 수 있을지 관심을 지켜봐야할 사항이다.
기버가 되어야 한다. 서로 나눔으로써, 우리는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하지만 기버에게도 조심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호구가 되면 안된다. 상대가 진실된 마음인지 잘 알아챌 수 있도록 하고, 상대가 테이커라고 판명이 되면 매처(matcher)로 대한다. 부드러운 tit for tat (받는대로 준다) 방식으로 한번씩은 잘해 줄 수는 있다. 그리고 기버는 자신의 이익도 추구할 줄 알아야 하는데, 자신이 포함된 공동체의 대표자로써 자신의 소신을 말할 줄 알아야 한다.
-- 스포 주의 -- 여자들이 탐험하는 영화. 상당히 잘 만든 영상미. 그리고 탐험을 하는 모험심, 그리고 상당한 공포감, 두려움 등이 영화를 지배하였고, 스토리의 실마리를 점점 풀어나가는 데에 재미가 더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장면에 대한 놀라움 등이 있었지만, 스토리에 대한 진행과정이 매끄럽냐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해를 하는데 큰 지장은 없는 듯하고, 마지막은 모두 외계인이지 않나 싶다. 결국, 외계인 침공 영화라고 볼 수 있겠다. 결국 인간의 상상력이 얼마나 창의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는 영화였다.
잘 들어라. 상대방이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도록 해라. 1. 잘 들어라. 상대방이 자기 얘기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하라. 상대방에게 흥미를 보여라.다른 사람이 대답하고 싶어할 만한 질문을 하라.그들이 자기자신과 자신이 이룬 성취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격려하라. 2. 상대방의 관심사에 관해 이야기하라. 데일카네기 - 인간관계론
The align-content property modifies the behavior of the flex-wrap property. It is similar to align-items, but instead of aligning flex items, it aligns flex lines. flex-wrap: wrap 일 때, 다음줄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 출처 : https://www.w3schools.com/cssref/css3_pr_align-content.asp
신은 나에게 내가 어쩔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평정심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바꾸는 용기를, 그리고 이 둘을 분별할 수 있는 지혜를 주셨다. 출처 - 데일카네기의 자기관리론
'어떻게 읽을 것인가'는 독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책이다. 나는 책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다. 다른사람보다 훨씬 읽는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낭독이 좋다는 말을 해준다. 여지껏 속독법이나 이런 얘기들 들어보면, 묵독을해라, 소리를 내서 읽지 말고 읽으라는 말이 많았다. 하지만 또 달리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문명은 읽기를 낭독으로 먼저 시작하였다. 말을 함으로써 읽기를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릴때 글을 보는 것보다, 소리를 듣고 말하는 게 더 좋다고 한다. 이런 점에서 기본은 우리의 음성으로 말을하고 듣는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려운 문장도 내가 직접 말을 해봄으로써, 이해를 하게 되고 문장이나 단어의 조합을 좀 더 이해함으로써 책 읽는 것도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등산을 갈 때의 길, 준비물, 소요시간, 랜드마크 등을 표시해주는 웹서비스를 만든다. 그리고 지도를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앱서비스만 있으니, 웹서비스도 만들어 볼 가능성이 있다.
Folder structure differs for build systems and language. Here are some standard conventions...src/: "source" files to build and develop the project.dist/: "distribution", the compiled code/library.lib/: external dependencies (when included directly).test/: the project's tests scripts, mocks, etc.vendor/: dependencies are usually put here via dependency management.bin/: files that get added to yo..
express -v pug -c sass 가 안될 때 (sudo) npm install -g express-generator 입력!
babel 이란 javascript를 인터넷 익스플로러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컴파일러라고 볼 수 있다.babel은 javascript compiler 다. 옛날 버전도 호환시켜주는npm install babel-cli -g를 하고프로젝트 root에 src 와 dist 폴더를 만든다.npm install babel-preset-env --save 를 하고Project root에 .babelrc를 만들고{ "presets": [ "env" ] }를 입력한다.babel ./src/babel.example.js -o ./out.js 를 하면 babel 컴파일링 된 파일을 만들어 준다.package.json에"scripts" : { "start": "node ./bin/www", "build"..
인지부조화 이용하기 말이 어렵지만 한마디로 '그냥' 읽는 것이다. 독서를 하기 싫을 때 조차도 그냥 읽어본다. 독서는 하기 싫은데 나 자신이 독서를 하면 인지부조화에 순간 빠지게 된다. 뇌는 인지부조화를 싫어한다. 그래서 대부분 독서를 그만둔다. 그런데 만약 하기 싫은데도 계속하면 어떻게 될까? 뇌는 인지부조화를 벗어나기 위해 '자기정당화'를 발동시킨다. '내가 독서를 싫어하는 게 아니야. 봐봐! 난 지금 독서를 하고 있잖아! 난 원래 독서를 좋아한다고!' 좀 과하게 표현했지만 실제로 이런 메커니즘이 뇌에서 만들어진다. 고 작가는 특히 글스기를 할 때 이 전략을 주로 이용한다. 글을 정말 쓰기 싫어도 그냥 앉아서 쓰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버티다 보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글을 쓰고 싶지 않은 마음이 상..
GET, POST, PUT, DELETE GET Retrieve the resource from the server.POST Create a resource on the server.PUT Update the resource on the server.DELETE Delete the resource from the server.
1.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무엇인가?"하고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2. 만약 해야만 한다면 최악의 상황을 받아들일 각오를 하라. 3. 차분히 최악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라. 1단계. 상황을 대담하고 공정하게 분석했고, 실패한 결과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최악의 상황이 무엇인지 생각했습니다. 2단계.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후 필요하다면 그걸 받아들여야 한다는걸 인정했습니다. 3단계. 마음속으로 예상했던 최악의 상황을 전제로 차분하게 현재의 상황을 조금이나마 개선하는 데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적어보는게 중요하다.1. 무엇이 문제인가?2.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3.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법은 무엇인가?4. 당신은 어떤 방안을 제안하겠는가?